진달래(Korean Rhodo-dendron) 진달래과
-
학명 :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 mucronulatum, 분포 : 아시아
-
서식 : 산지, 크기 : 약 2.0m~3.0m, 꽃말 : 절제, 청렴, 사랑의즐거움
분홍색의 꽃은 잎이 나오기 전인 4월부터 가지 끝에 2~5송이씩 모여 피는데, 통꽃으로 꽃부리 끝은 5갈래로 조금 갈라져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는다.
진달래는 한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개나리와 함께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나무의 하나로 사랑받아 왔는데, 봄에 한국의 산 어디에서나 꽃을 볼 수
있을 만큼 널리 퍼져 있다. 개나리가 주로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는 반면에 진달래는 약간 그늘지며 습기가 약간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가지가 많이
달리기 때문에 가지치기를 해도 잘 자라며 추위에도 잘 견딘다. 뿌리가 얕게 내리고 잔뿌리가 많아 쉽게 옮겨 심을 수 있다. 꽃을 따서 먹을 수 있으므로
참꽃 또는 참꽃나무라고 부르는데, 꽃을 날것으로 먹거나 화채 또는 술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술을 빚어 먹을 경우 담근 지 100일이 지나야 맛이 난다고
하여 백일주라고도 하는데, 한꺼번에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먹어야 몸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달래를 두견화(杜鵑花)라고도 하는데,
이는 두견새가 밤 새워 피를 토하면서 울어, 그 피로 꽃이 분홍색으로 물들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
산아래에서는 이제사 꽃망울을 만드는데 산중간에서 활짝 핀 진달래를 보았다
참 신기하다 기대 안했던 꽃인데 지형적 차이인가 여러그루가 피어있는 모습
봄이 분홍빛 옷을 입고 지대로 온것 같다 ㅎ ~~
2012. 4. 2 수리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