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초류

해오라기 란

만사니 2012. 8. 24. 07:05

 

 

 

 

 

 

 

 

 

 

 

 

 

 

 

 

 

 

 

 

 

 

 

 

 

 

 

 

 

 

 

 

 

 

 

 

 

 

 

 

 

 

 

 

 

 

 

 

 

 

 

 

 

 

              해오라기난초 (Habenaria radiata (Thunb. ex Murray) Spreng)

 

           꽃말   꿈에도 만나고 싶다

 

 

           해오라비 또는 해오라기 난초는 ‘해오라비(기) + 난초’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원래는 해오라기라고 하는데 근래에는 해오라비라고도 부른다.

 

           해오라기는 황새목 왜가리과의 새로서   몸길이 약 56-61㎝, 날개길이 26-31㎝, 꼬리길이 9.4-12㎝이다

          온몸이 희고 부리와 다리는 검은데  날개는 크며 꽁지는 짧다.   머리와 등은 녹청색 금속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 뒷머리에 여러 가닥의 길고 얇은 흰색 댕기가 있다.    새끼는 온몸이 갈색이며,  

          논·개울·하천·습지 등에서 서식한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침침한 숲에 있다가 저녁 때 논이나

          개울에서 물고기·개구리·뱀·곤충·가재를 잡아먹는다.  산란기는 4-8월이고 한배에 3-6개의 알을 낳는다.

          둥지는 소나무·삼나무·잡목 숲에 작은 나뭇가지를 엮어 만든다

 

          이 식물의 꽃모양이 마치 해오라비(기)가 하늘을 힘차게 날아가는 형태와 유사하다는데서 유래된 이름이며

          개화기는 7~8월이다.

 

 

 

 

 

 

(새사진  다음 자연박물관에서 퍼옴)

 

 

 

 2012.  8.  20.